단독 벡스코, ‘성범죄·횡령’ 혐의 류광수 다락방에 대관 논란···추가 피해 우려도
- 부산성시화이단상담소
- 3일 전
- 2분 분량
투데이코리아ㅣ김시온 기자ㅣ승인시간 2025.07.04 16:52ㅣ수정시간 2025.07.04 22:15
![]() ▲ 세계복음화전도협회와 세계청소년교류연맹이 공동 주관하는 연례 최대 행사. 사진=제보자 |
투데이코리아=김시온 기자 | 부산 벡스코가 성폭력과 700억원대 재정 횡령 혐의로 고발돼 수사를 받고 있는 류광수 총재의 세계복음화전도협회에 대규모 청소년 행사 장소를 제공해 논란이 일고 있다.
4일 <투데이코리아> 취재를 종합하면, 오는 29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벡스코에서 ‘세계렘넌트대회(WRC)’가 개최된다. WRC는 세계복음화전도협회와 세계청소년교류연맹이 공동 주관하는 연례 최대 행사로, 미성년자를 포함한 전 세계 청소년이 대거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성범죄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는 류광수 총재가 청소년 집회 무대에 올라 설교와 강연을 할 계획이 알려지면서, ‘상식의 선을 넘었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특히 류 총재는 최근 법무부로부터 출국금지 조치까지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두고 장하나 정치하는엄마들 사무국장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작년 10월 MBC PD수첩은 세계복음화전도협회 류광수 총재 및 소속 목회자들의 성비위와 수백억대 횡령 사실 등을 보도했고, 피해 당사자들의 기자회견이 이어졌다”며 “그럼에도 다락방은 1만명 이상 아동·청소년이 참가하는 세계렘넌트대회를 오는 7월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할 예정”이라고 짚었다.
이어 “부산시가 지분 40% 이상 보유하고 있는 공기업 벡스코가 다락방에 대관을 허락한 것은 사이비 종교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와 다름없다”며 “교회 내 가스라이팅과 그루밍 성범죄에 취약한 아동·청소년들을 성범죄 피의자인 류 총재의 설교에 노출 시킴으로 추가 피해를 양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부산 관내 다락방 소속 교회가 다수 자리 잡고 있으며, 영남권에도 백여 곳이 있다. 부산시와 벡스코는 사이비 이단 종교 청소년 행사의 대관을 즉각 취소하고, 부산시민 피해 실태부터 파악하라”고 강조했다.
특히 학부모 단체에 이어 법조계에서도 이번 대관 결정이 공적 책임을 저버린 처사라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김상수 법무법인 선린 변호사도 “WRC에는 수많은 아동과 청소년이 참석하여 3일 동안 강의를 듣게 되는데, 성도와 불륜을 정당하게 말하고, 성범죄혐의로 고소되어 조사 받고 있는 목사를 강사로 세워 강의를 듣게 하는 것은 아동의 정신건강 및 발달에 해를 끼치는 정서적 학대행위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아동학대가 될 수 있다. 벡스코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아동의 정서적 학대 행위를 방지할 의무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WRC 현장을 경험한 탈퇴자들 역시 비슷한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다락방 탈퇴자들은 “다락방 관련 집회 도중 모 목회자가 여신도를 상대로 성범죄를 저질러 지금 구속된 상태인데, 이런 상황에서 공공기관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 벡스코가 아무런 대응책 없이 다락방에 장소를 제공하는 것은 잘못됐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논란과 관련해 벡스코 관계자는 본지에 “공공기관으로서의 성격도 있지만, 주식회사로서의 사업적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계약 체결이 이미 완료된 상태”라고 밝혔다.
그렇지만 해당 관계자는 “다락방의 성범죄 행위 의혹에 대해 엄중하게 보고 있으며, 과거 다른 세계복음화전도협회 또는 관련 교회 행사에서 발생했던 것처럼 성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철저히 대비하고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다만, 피해자 단체와 법조계, 학부모단체 등은 벡스코 측에 “대응책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밝히라”며 구체적 대응책 마련과 행동을 촉구하고 있다.
한편, 2001년 9월 개관한 벡스코는 부산 최초의 대형전시·컨벤션시설로 부산광역시의 출자·출연기관 중 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벡스코의 최대 주주는 부산시로, 42.5%의 지분으로 보유하고 있다. 또한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의 지분 26.0%로, 3대 주주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출처] - 투데이코리아
- 부산성시화이단상담소 문의 및 제보 0505-944-2580 -
Comentários